로그인 HOME회원가입 운영자에게포인트충전광고문의 회원등급표 이용도움말 중고구입신청 중고등록대행 즐겨찾기추가 ENGLISH
사실때 파실때 부품사실때 부품파실때 모델별찾기 평균가격표 입점업체
2009-03-22  조회: 11299 
제조사4륜구동(etc)제품명 트랙터모델명 운전조작
글쓴이바람소리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제 목트랙터 전륜은 필요할때만...
상세 설명

트랙터의 경우   도로 주행시  전륜 기어를 넣고서  다니시는분들도 있는데,

도로 주행시 타이어 마모가  많이 됩니다.

                                 

그러기에  도로 주행시 전륜 기어가   들어갔는지  뺐는지  확인하시고  주행을 하세요. 타이어 마모 뿐만이 아니라  기어의 마모도 가져오니   작업을 마치고선  꼭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도로주행시  전륜 기어가 들어가면  주행할때 소리도 약간 다르니  신경 써야 할것입니다. 

                                           

얼마전에도 어떤분이  도로 주행을 하는데,  트랙터가 전륜이 작동되어  주행하더군요.    알면서 그렇게 하는지   몰라서 그대로 주행하는지 모르겠지만  혹여  그러한 부분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지금이라도  자신의 트랙터 전륜기어를 넣었을때와 뺐을때 소리를 귀 기울여 보세요.           

 

도로 주행시도  전륜을  넣는 경우가 있는데,   타이어 접지력을 높일때는 필요합니다.    구동이나 제동력 때문에 그렇습니다.   오르막이나 내리막 길이 심한곳에서는  작동할때가 있답니다.  등판과  브레이크 때문이죠.  일부 모댈의 트랙터에서는  브레이크에 의한 전륜이  필요없는것도 있으니 자신의 트랙터가  제동할때   앞쪽까지 브레이크가 걸리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확인 방법은  빙판길이나 진흙길 주행중 브레이크 잡아보면 알수 있습니다.                               

                                                                                                             

피아트 트랙터의 경우는 브레이크 밟을때 전륜이 작동되지 않지만  전륜 기어를 넣으면  브레이크가 작동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존디어 6000시리즈에서는  전륜을 넣지 않아도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이 작동됩니다.  그러나 편 브레이크 작동시에는  전륜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습니다.                     

 

 

전륜 잘 알고 사용하면  기계의 마모를 줄일수 있고, 안전운행에  도움이 되니 잘 알고 사용하세요.

                                                                                                          

 

글목록
글 추천제도 안내
18
수정삭제
글쓴이내 용날 짜추 천
귀농1

피아트 65-94나... L85모델도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불들어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2009-03-22
6
바람소리

피아트 65-94 와 82-94 경우는 전륜이 버튼식이라서 가능한가 보네요.
버튼식이 아닌 수동식은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이 안되겠네요.
그렇다면 전륜의 스위치가 브레이크로 연결 되었다는 소리네요.
다시 이야기 하면 브레이크 스위치가 양쪽 하나씩 있다는것이 되는군요.
스위치 하나만 고장나도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이 작동되지 않는거네요.
버튼식으로 전륜 작동하는 운전자들은 브레이크 스위치가 양쪽 모두 제대로 작동되는지 확인 하서야겠네요. 브레이크 스위치가 하나만 고장나도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은 브레이크 기능이 안되는것으로 아시고, 전륜 브레이크가 필요신엔 전륜 스위치를 넣어줘야 되겠습니다.

나중에 전륜 스위치로 작동되는 트랙터 구입시 브레이크 작동시 전륜 작동되지 않게 하든지 아니면 편 브레이크 위주로 제동할지 생각해봐야겠습니다. 그건 고장율을 줄이기 위함입니다.
홀수날은 왼쪽 브레이크만 짝수날은 오른쪽 브레이크만... ㅎㅎ 그것도 재밌네요. 급할땐 양쪽 모두 잡히게 브레이크 정 중앙부분을 밟아서 동시에 밟아야겠지요.

귀농1님이 달아주신 댓글 하나로 또 다른 하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9-03-22
0
바람소리

정말로 궁금했던 부분을 귀농1님 때문에 알게 되었습니다.
전륜쪽에 브레이크 기능이 없는데, 어떻게 브레이크가 잡힐까? 궁금했으며,
편브레이크 잡을땐 전륜 브레이크가 작동되지 않았기에 어떻게 해서 그게 가능할까?
외국 기술력은 참으로 뛰어나구나 라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브레이크 잡을시 전륜 브레이크등이 켜진다는 글을 보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알고 모르는것 차이가 이렇게 큰가 봅니다. 알고나면 아무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버튼식으로 전륜을 작동하는 트랙터가 있다면 브레이크 스위치에 배선을 연결하여 전륜
브레이크 작동하게 만들수 있는건 아무것도 아닌것 같습니다. 대신 브레이크에 각각의 스위치를 장착해야하므로 스위치가 2개가 있어야겠네요.


뭐든 응용하면 뭐든 다 만들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65-94 나 82-94 에는 유압오일 냉각팬 장착도 가능하겠던데요. 예전에 어떤분이 오일 쿨러 이야기 하셨는데, 조향장치에서 흘러나오는 유압을 이용하면 가능 하겠더군요. 조향장치 오일이 유압오일과 함께 사용되고 있기에 가능하겠지만요.
2009-03-22
0
귀농1

네... 스위치 2개 맞습니다. 얼마전 저희 L85에... 전륜구동 버튼을 누르면... 불은 들어오나... 작동이안되서... 습지에선 꼼짝 달삭을 못해서... 다른트렉터로 견인후 뜯어보니... 휴즈 이상으로.. 스위치는 제역할을 하나... 앞차축은 명령하달을 못하더군요... 어렵게도... 탑 아래쪽에 위치하고있어... 탑을 고정하는 볼트를 약간 풀고... 지게차로 살짝들어올리니... 공간이좀나와... 손이들어가더군요... 단순히 쥐가들어가서.. 단선을시켰더군요...납땜하고... 작동하니 오케이!!
농기계정비하시는분들도 대부분 못하시고... 한거 1주일동안 책 찾아보면서 간신히 작업완료 했습니다. 뿌듯함~
2009-03-22
3
귀농1

동양 68마력짜리는 뒷바퀴만... 브레이크 잡히더군요... 5톤짜리 퇴비 츄레라라에 퇴비 잔뜩싣고 내리막길가다가... 죽을뻔했습니다. 정말..680모델.. 정말 브레이크 안습입니다.
2009-03-22
3
바람소리

귀농1님 정비 기사들도 원인을 찾지 못해서 해맸는데, 직접 수리를 하셨군요.
기계의 원리를 알고 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싶으며, 정비기사들이 그 원인을 못 찾은것은 전기 배선에 약하기 때문이었을것입니다.
기계수리는 잘 할지 몰라도 수리하시는 분들이 전기쪽에는 의외로 약합니다. 그래서 고장 원인을 찾아내지 못했을것입니다.

그래도 지게차로 들어올려서 하셨다니 다행이네요. 저 같으면 아마도 배선을 다시 깔지 않았을까 싶어요. 탑을 낼려서 할려면 너무 힘들기 때문이겠죠.

동양 트랙터로 큰일 날뻔 하셨군요. 앞으로는 그렇게 무거운 짐을 실고 내리막 내려 가실땐 4륜 넣고 운행하는게 안전 하겠네요. 엔진브레이크까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기어를 저단에 넣고 엔진브레이크로만 내리막을 내려가시고 엔진 속도가 많이 올라가면 브레이크를 밟아주는데, 클러치 페달을 밟지 말고 브레이크만 밟아주면 될것입니다. 그 이유는 엔진브레이크와 브레이크가 동시에 작동되게 하기 위함입니다.

참고로 트랙터에 과도한 중량은 삼가 하는게 좋을것입니다. 도로처럼 단단한곳에서는 자동차와 달리 타이어 접지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제동이 잘 안됩니다. 그 점 유의 하시길 바랍니다.

2009-03-23
0
hchangs

대동 LX68 브래이크 페달으 밟으면 4륜구동이 됩니다. 브래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면 바로 해제됩니다.....
2009-03-24
2
민들래

염전이 있어서 논으로 만들려고 땅을 파내고 일반흙으로 덮는작업을 하다가 트렉터 뒤집어 먹는줄 알았습니다. 트렉터는 72마력인데 추레라를 큰 걸로 달아놓고 흙을 최대한 많이 실고 나르려고 하다가 경사직곳을 내려가던 중 브레이크를 밟았는데 갑짜기 브레이크가 잡히지 않더니 고속으로 내려가더군요. 천만다행으로 앞길이 내리막에서 오르막길여서 위험한 상황은 모면했습니다. 이럴땐 4륜넣고,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사고로 너무 놀래서 한동안 작업을 하지 못했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참고하시고, 항상 조심운행하세요.
2009-03-25
2
cnska

민들래님 말씀 공감합니다. 얼마전에 110마력에 4.3ton퇴비살포기 달고 경사진밭 살포 마치고,진흙 바퀴에 뭍힌상태에서 전륜빼고 내리막 시멘트 포장도로에 들어섰다가 그냥 막 내려타는 바람에 죽는줄 알았어요,제트랙터도 브레이크걸면 4륜구동 되면서 제동 하는데 그날은당황해서 전혀 손도못써보고 브레이크만 꽉 밟은채 순식간에 포장구간15~20m을 통과 다행이 요철이심한 비포장을 만나 가까스로 정지 위기를 넘긴적 있었지요.지금도 그때 생각만하면 아찔합니다. 빈살포기라 너무 안일하게 맘먹고 4륜구동을 해제한것이 화근이었던것입니다.
2009-03-25
1
바람소리


수정

삭제
짐을 실고 내리막 내려가면서 사고 위험성을 느낀분들이 계시는군요. 그럴땐 4륜 작동시킨 다음에 내리막을 내려가야 하며, 브레이크보다는 엔진브레이크가 효율적입니다. 엔진 브레이크는 몇단을 넣고 가야 하는게 궁금하실거여요.
오르막을 올라갈때와 같은 기어나 그 보다 한단계 아래 기어를 넣어주면 됩니다. 트레일러에 짐을 실었다면 그 짐을 몇단을 넣어야 그 오르막을 올라갈수 있을까 생각한 기어단수를 넣거나 그 보다 한단계 저단을 넣은다음에 엑셀페달은 최저속으로 해 놓으면 됩니다. 그럼 내리막이다 보니 엑셀을 밟지 않아도 엔진 알피엠이 올라가게 되는데, 엔진 알피엠이 많이 올라가게 되면 클러치를 밟지 않고 브레이크만 밟아주면 엔진 알피엠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럼 브레이크 밟지 않으면 됩니다. 다시 엔진 알피엠이 올라가면 또 클러치를 밟지 말고 브레이크만 지그시 밟아주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브레이크에 무리도 덜가고 내리막을 안전하게 내려갈수 있습니다.
짐을 실고 올라갈수 없을 정도의 내리막이라면 그러한 도로 주행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엔진브레이크 사용해도 트랙터와 짐 무게로 인해서 타이어의 접지력이 상실되어 사고로 이어집니다.
2009-03-25
1
이 름 내            용 비밀번호




사진첨부
  ▲ 다음글 : 존디어 135마력도... 3점링크...
  ▼ 이전글 : 트렉터 년식 구별하는법 좀 알려주세요..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쇼핑몰 상품입점안내| 기사자료| 광고문의| 홈페이지등록| 이용도움말| 사업자정보확인





MY
카카오톡
네이버톡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