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l3503트랙터 운전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마 많은분들이 다 아는걸 왜 적냐고 하실텐데요. 물론 대리점이나 농기계임대사업소 가면 다 알려주긴하지만,l3503트랙터를 구입하지 얼마안되신 분들을 위해 적겠습니다. 먼저 l3503에 주변속 기어 넣는법입니다. 아마 2007년이전l3503은 변속기가 의자 밑에 있을텐데요 그래서 도로주행시 탄력변속에는 살짝 어려운감이 없지않아 있습니다.기어를 넣는방법은 노란색pto기어봉옆에 검은색 기어봉이 주변속 기어인데요.대부분 l3503처음 타시는 분들은 노랑색 기어봉이 주변속이신줄 아시더라구요.하지만 검은색 기어봉이 주변속입니다,두번째는 pto버튼인데요.l3503은 pto버튼이 없음으로 pto기어만 넣고 로터리를 내리면 돌아갑니다,멈추는 방법도 pto기어를 빼거나 로터리를 들면 멈춥니다,3번째는 사이드브레이크인데요. l3503은 변속기 오른쪽에(운전석 기준)사이드브레이크가있습니다, 사이드 브레이크를 채우는 방식은 다른 트랙터와 똑같이 브레이크 밟고 당기면 됩니다.네번째는 추레라 덤프(유압)기능인데요. 레버는 로타리 상승 레버 뒤에 있습니다. 이 레버는 추레라를 덤프할때 쓰는 레버입니다.다섯번째는 l3503캐빈입니다. 많은분들이 2004년이전l3503은 플라스틱 캐빈이라 전복시 운전자가 깔릴수 있다고 생각하시는데요.l3503뒤를 자세히 보시면 트랙터 전복방지 프레임이 탑안에 있습니다. 여섯번째는 예열등입니다.2007년이전l3503은 계기판에는 예열등이 뜨지 않는데요.2007년이전 l3503은 계기판옆에 구멍에작은 회로가 있는데 키를 뒤로 돌리면 그 회로가 빨개지면 예열이 다된것 입니다. 오늘은 l3503의조작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아무래도 기계식이다 보니 조작시 살짝 헷갈릴수도 있는데요. 이 글을 읽으시고 조금이라도 몰랐던 부분을 알아가시길 바랍니다.팁으로 l3503에 년식별 외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1990~1993년:주황색외형에문이달린철탑(2006년이후 철탑이랑은 좀다름) 1993년~1999년:주황색외형흰색플라스틱 문이없는캐빈 1995년이후로부터는 d가 붙음 (l3503-d)2000년~2003년:초록색 외형에 플라스틱 오픈캐빈 노란휠에 번호판이 붙으며 똑같이 d가 붙음 2004년~2005년다시 주황색 외형에 이름판이 좀 달라짐 2006년~2007년:주황색 철탑으로 교체되며 이름판에d가 사라짐 2007년~2013년:주변속기어와 pto기어가 계기판옆에 생기며 핸들이 바뀌며 마후라가 바퀴옆에생기고 에어필터가 사라지며 똑같이 주황색 철탑에 계기판이 달라짐. 지금까지 l3503에 조작법에 대해 알려 드렸습니다. 좋은 트랙터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